호토박이(호주교육부 공인 교육전문가 QEAC No.D218)님에게 문의를 주셨던 내용을 소개해드리려합니다.
문의주셨던 분의 백그라운드는
현재 한국에서 결혼을 해서 직장생활을 하고 계신 남편분으로,
법(law)학을 통한 호주영주권 취득을 목표로 세우신 분의 사연인데요.
법학을 통한 호주영주권 취득 및 호주변호사에 관심 있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 담겨 있어
공유해드리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내용을 천천히 살펴봐주세요-
** 질문하신분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일부내용은 각색되었습니다.
문의 내용1.
안녕하세요 호토박이님.
현재 30대 중반으로, 한국에서 대학교를 중퇴후,
변리사 시험을 준비하다, 시험에 떨어졌지만 공부하는 과정에서 법학 공부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시험을 접은 후 직장생활을 조금 하다가 결혼을 하였고,
아내는 호주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현재는 한국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흥미있는 분야의 일을 하고 싶어서 유학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호토박이 답변
안녕하세요, 어쩌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도전 중 하나일 수 있는 호주영주권유학 도전에 앞서
저에게 문의를 주셔서 고맙습니다.
단순 유학이 아닌, 영주권유학에서는 첫 단추를 어떻게 끼우느냐에 따라 영주권의 가능성이 크게 달라집니다.
최대한 호주현실에 맞는 답변을 드릴텐데..
다소 냉혹하게 들릴지라도 넓은 이해 부탁드립니다.
막연히 전문분야인 법학에 접근하는것이 아닌, 그래도 해당분야가 어떤 성격인지는 알고 접근하는 것이라
이 전공선택에서 개인의 적성이나 학업능력부분은 크게 우려되지 않습니다.
다만 영어가 가장 큰 관건이 될 것입니다.
만약 처음 유학부터 와이프분과 함께 간다면, 그래도 호주에서 대학을 나온 와이프분이 큰 힘이 될 것입니다.
호토박이 답변
안녕하세요, 어쩌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도전 중 하나일 수 있는 호주영주권유학 도전에 앞서
저에게 문의를 주셔서 고맙습니다.
단순 유학이 아닌, 영주권유학에서는 첫 단추를 어떻게 끼우느냐에 따라 영주권의 가능성이 크게 달라집니다.
최대한 호주현실에 맞는 답변을 드릴텐데..
다소 냉혹하게 들릴지라도 넓은 이해 부탁드립니다.
막연히 전문분야인 법학에 접근하는것이 아닌, 그래도 해당분야가 어떤 성격인지는 알고 접근하는 것이라
이 전공선택에서 개인의 적성이나 학업능력부분은 크게 우려되지 않습니다.
다만 영어가 가장 큰 관건이 될 것입니다.
만약 처음 유학부터 와이프분과 함께 간다면, 그래도 호주에서 대학을 나온 와이프분이 큰 힘이 될 것입니다.
문의 내용2.
현재 학비와 호주에서의 생활비는 어느정도 마련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영어실력은 초~중급 정도라고 생각됩니다.
IELTS 공부를 이미 시작한 상황이고 3주 후 시험을 볼 예정입니다.
호토박이 답변
기본적인 내용은 아시겠지만 간단히 요약하면,
호주에서 변호사가 되는 길은 크게 법학사와 JD (로스쿨) 를 마치면 가능합니다.
다행인 점은 한국과는 다르게 BAR EXAM 이 없습니다.
따라서 법대를 졸업하고 PLT 연수만 마치면 SOLICITOR 등록이 가능하고,
이 SOLICITOR 직종은 MLTSSL 에 포함된 직종이기에 영주권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현재 학사를 마친것이 아니기에 Graduate Entry 로 입학은 어렵고, JD 과정 입학도 안되니 일반법학사 4년을 해야 졸업이 됩니다. (복수전공은 5년이상이고 현재의 나이조건 등을 감안해서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정말 필요하다면 법학사 후 영주권해결된 후에 차후 석사2년정도로 전문분야를 추가해도 되니까요)
일부 대학 (Bond대학등) 에서는 1년에 3학기제를 운영하기에 4년의 학업이 3년정도로 기간을 줄일 수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절대 대학을 먼저 선정할것이 아니라 지역을 훨씬 더 중요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혹 저의 유튜브 영상을 보셨다면 이해가 될 것입니다.
호주영주권유학에서 가장 중요한 선택 3대원칙은 반드시 아래 순서대로 결정되어져야 합니다.
1. 전공선택
2. 지역선택
3. 학교선택
절대 1과 2가 합리적인 선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3번을 먼저 끼워 맞출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면, 현재 NSW 는 졸업 후 3년의 경력을 갖춘후에 비로소 190비자로 접근이 가능하고,
QLD와 VIC 주는 대표적으로 190의 INVITATION이 적은 주 입니다.
법학을 공부하고 바로 한국으로 돌아온다면야 모르지만, 결국 호주에서 변호사 등록을 하고 해당분야에서
일을 하려면 영주권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 영주권은 질문자님의 조건 (나이점수와 싱글이 아닌점, 그리고 영어가 IELTS 8.0이 안될것이라는 점 등)에서는
결코 189비자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190을 염두에 둔 접근이 현실적인 방안인데..
이것이 NSW, QLD, VIC 주에서는 현실적으로 너무 작은 가능성입니다.
현재의 주정부스폰서(190) 의 제도를 감안하면,
ACT, SA, WA 주에서 고려해볼만 합니다.
(TAS와 NT 는 너무 작은 시장규모라 190조건은 나쁘지 않지만 추천을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우선 아래 영상으로 호주영주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먼저 하시면 위의
저의 설명이 어떤 취지인지 이해가 될 것입니다.
문의 내용3.
제가 나이가 있기 때문에 빠르게 학기를 시작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과정이 짧은 대학교를 가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학 후 영주권에도 도전해보고 싶은 생각도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처음 관심이 갔던 대학은 본드(BOND)대학교와 그리피스(Griffith)대학교 였는데,
아직 호주 대학시스템과 다른 대학들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법대 졸업 후 향후 전망 같은것도 잘알지 못하는 상태라 상담을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호토박이 답변
위에서 언급한대로 특정 대학이 아닌 190 조건을 살펴서 지역을 먼저 고려하셔야합니다.
그리고 각대학의 법학은 대학에 따라서 입학기준이 다릅니다.
질문자님의 학비와 생황비 자체에서 자금조달에 문제가 없다면 결국 영주권의 가능성은 지역선택과 영어수준에 따라 결정될 것 입니다.
꼭 3주안에 (영어시험 유형만 파악해서) 영어시험을 보시고 그 결과를 저와 공유해 주세요.
만약 시험유형만 파악했다고 하더라도 이 첫시험에서 리딩과 리스닝이 5점대의 점수가 나온다면,
안녕하세요 호주유학클럽 여러분-
얼마전 저희 호주유학클럽을 통해
호토박이(호주교육부 공인 교육전문가 QEAC No.D218)님에게 문의를 주셨던 내용을 소개해드리려합니다.
문의주셨던 분의 백그라운드는
현재 한국에서 결혼을 해서 직장생활을 하고 계신 남편분으로,
법(law)학을 통한 호주영주권 취득을 목표로 세우신 분의 사연인데요.
법학을 통한 호주영주권 취득 및 호주변호사에 관심 있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 담겨 있어
공유해드리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내용을 천천히 살펴봐주세요-
** 질문하신분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일부내용은 각색되었습니다.
호토박이 답변
안녕하세요, 어쩌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도전 중 하나일 수 있는 호주영주권유학 도전에 앞서
저에게 문의를 주셔서 고맙습니다.
단순 유학이 아닌, 영주권유학에서는 첫 단추를 어떻게 끼우느냐에 따라 영주권의 가능성이 크게 달라집니다.
최대한 호주현실에 맞는 답변을 드릴텐데..
다소 냉혹하게 들릴지라도 넓은 이해 부탁드립니다.
막연히 전문분야인 법학에 접근하는것이 아닌, 그래도 해당분야가 어떤 성격인지는 알고 접근하는 것이라
이 전공선택에서 개인의 적성이나 학업능력부분은 크게 우려되지 않습니다.
다만 영어가 가장 큰 관건이 될 것입니다.
만약 처음 유학부터 와이프분과 함께 간다면, 그래도 호주에서 대학을 나온 와이프분이 큰 힘이 될 것입니다.
호토박이 답변
안녕하세요, 어쩌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도전 중 하나일 수 있는 호주영주권유학 도전에 앞서
저에게 문의를 주셔서 고맙습니다.
단순 유학이 아닌, 영주권유학에서는 첫 단추를 어떻게 끼우느냐에 따라 영주권의 가능성이 크게 달라집니다.
최대한 호주현실에 맞는 답변을 드릴텐데..
다소 냉혹하게 들릴지라도 넓은 이해 부탁드립니다.
막연히 전문분야인 법학에 접근하는것이 아닌, 그래도 해당분야가 어떤 성격인지는 알고 접근하는 것이라
이 전공선택에서 개인의 적성이나 학업능력부분은 크게 우려되지 않습니다.
다만 영어가 가장 큰 관건이 될 것입니다.
만약 처음 유학부터 와이프분과 함께 간다면, 그래도 호주에서 대학을 나온 와이프분이 큰 힘이 될 것입니다.
호토박이 답변
기본적인 내용은 아시겠지만 간단히 요약하면,
호주에서 변호사가 되는 길은 크게 법학사와 JD (로스쿨) 를 마치면 가능합니다.
다행인 점은 한국과는 다르게 BAR EXAM 이 없습니다.
따라서 법대를 졸업하고 PLT 연수만 마치면 SOLICITOR 등록이 가능하고,
이 SOLICITOR 직종은 MLTSSL 에 포함된 직종이기에 영주권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현재 학사를 마친것이 아니기에 Graduate Entry 로 입학은 어렵고, JD 과정 입학도 안되니 일반법학사 4년을 해야 졸업이 됩니다. (복수전공은 5년이상이고 현재의 나이조건 등을 감안해서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정말 필요하다면 법학사 후 영주권해결된 후에 차후 석사2년정도로 전문분야를 추가해도 되니까요)
일부 대학 (Bond대학등) 에서는 1년에 3학기제를 운영하기에 4년의 학업이 3년정도로 기간을 줄일 수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절대 대학을 먼저 선정할것이 아니라 지역을 훨씬 더 중요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혹 저의 유튜브 영상을 보셨다면 이해가 될 것입니다.
호주영주권유학에서 가장 중요한 선택 3대원칙은 반드시 아래 순서대로 결정되어져야 합니다.
1. 전공선택
2. 지역선택
3. 학교선택
절대 1과 2가 합리적인 선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3번을 먼저 끼워 맞출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면, 현재 NSW 는 졸업 후 3년의 경력을 갖춘후에 비로소 190비자로 접근이 가능하고,
QLD와 VIC 주는 대표적으로 190의 INVITATION이 적은 주 입니다.
법학을 공부하고 바로 한국으로 돌아온다면야 모르지만, 결국 호주에서 변호사 등록을 하고 해당분야에서
일을 하려면 영주권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 영주권은 질문자님의 조건 (나이점수와 싱글이 아닌점, 그리고 영어가 IELTS 8.0이 안될것이라는 점 등)에서는
결코 189비자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190을 염두에 둔 접근이 현실적인 방안인데..
이것이 NSW, QLD, VIC 주에서는 현실적으로 너무 작은 가능성입니다.
현재의 주정부스폰서(190) 의 제도를 감안하면,
ACT, SA, WA 주에서 고려해볼만 합니다.
(TAS와 NT 는 너무 작은 시장규모라 190조건은 나쁘지 않지만 추천을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우선 아래 영상으로 호주영주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먼저 하시면 위의
저의 설명이 어떤 취지인지 이해가 될 것입니다.
호토박이 답변
위에서 언급한대로 특정 대학이 아닌 190 조건을 살펴서 지역을 먼저 고려하셔야합니다.
그리고 각대학의 법학은 대학에 따라서 입학기준이 다릅니다.
질문자님의 학비와 생황비 자체에서 자금조달에 문제가 없다면 결국 영주권의 가능성은 지역선택과 영어수준에 따라 결정될 것 입니다.
꼭 3주안에 (영어시험 유형만 파악해서) 영어시험을 보시고 그 결과를 저와 공유해 주세요.
만약 시험유형만 파악했다고 하더라도 이 첫시험에서 리딩과 리스닝이 5점대의 점수가 나온다면,
호주 법학 공부의 도전은 포기하시는것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의 나이에서 영어는 공부를 하면할수록 상승하지 않습니다.
일정기간 공부하고난 후에는 멈추는 시점이 옵니다.
그 멈추는 시점은 처음 시험유형만 차악하고 본 시험 점수를 보면 대략 가늠이 됩니다.
이 멈추게 될 예상치가 7.0대가 안된다면 도전하지 않는것이 바람직 하거든요.
3주 후 영어시험 결과 나오면 또 연락주세요.
상기 내용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